편의점에서 살 수 있는 상비약의 종류 & 약국·편의점용 약의 성분 차이점
주말이나 여행을 갔다가 갑자기 열이 나거나 아프면 난감한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공휴일이나 심야 시간에는 병원과 약국들이 대부분 문을 닫기 때문에 치료나 약을 살 수 없어 평일날까지 기다릴 수밖에 없습니다.
급한대로 편의점에서 약을 구입할 수 있으나 편의점에서는 약 종류가 몇 종류밖에 없기 때문에 이 또한 해결이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편의점에서 살 수 있는 약 종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전상비의약품 제도는 2012년 11월부터 약국이 문을 닫는 공휴일이나 심야 시간에 급하게 약이 필요한 환자들의 불편을 해소한다는 취지로 도입됐던 것입니다. 현재 판매되는 항목은 해열·진통제 3종, 감기약 2종, 소화제 4종, 파스 2종 등 11개입니다. 처음에는 13개가 지정됐지만, 어린이용 타이레놀 알약 등 진통제 중 2개 제품은 현재 생산이 중단돼 구매할 수 없습니다. 여기에 지사제나 제산제, 알레르기약, 상처·화상연고 등은 빠져 있어 “급하게 필요한 약을 구하기 어렵다”는 불만도 많이 있는 상황입니다.
판매 항목은 가벼운 증상에 쓸 수 있는 일반의약품 중 20개 이내로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하도록 되어 있지만, 편의점 판매 의약품은 이 제도 도입 이후 늘어난 적이 없습니다.
* 편의점에서 판매 중인 상비약 (총 11종)
분류 | 제품명 |
해열진통제 | 타이레놀정 500mg 어린이부루펜시럽 어린이타이레놀현탁액 |
소화제 | 베아제정 닥터베아제정 훼스탈골드정 훼스탈플러스정 |
감기약 | 판콜에이내복액 판피린티정 |
파스 | 신신파스아렉스 제일쿨파프 |
편의점 업계에서는 “현실에 맞게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농어촌 등 약국이 없는 취약 지역에서는 편의점이 ‘야간 약국’ 역할을 할 수 있는 만큼 판매 품목 등을 현실화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의약품을 판매할 수 있는 편의점은 ‘24시간 영업점’으로만 제한하고 있는데, 농어촌 지역에선 편의점이 24시간 영업을 하지 않는 곳도 많은 만큼 관련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많습니다.
반면 약사단체는 이 같은 편의점 판매 의약품을 확대할 필요성에 대해 강하게 반대하고 있는 입장입니다. “의약품을 무분별하게 늘릴 경우, 자칫 의약품 오남용 우려가 커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편의점에서 의약품을 판매한 지 10년이 넘었는데 오남용으로 인한 부작용 사례는 한번도 나온 적이 없다”는 것이 현실입니다.
해외 사례,
우리나라보다 일반의약품 구매 장벽이 매우 낮은 편입니다. 미국에서는 30만 개, 영국은 1500개, 일본은 930개 이상의 의약품이 약국이 아닌 곳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미국이나 일본 등지에 여행을 간 우리나라 국민들이 현지에서 ‘약 쇼핑’을 할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약국용 약 vs 편의점용 약은 성분 차이 있다.
현재 진통제 등 일부 의약품은 약국뿐 아니라 편의점이나 온라인몰 등에서도 구매가 가능합니다. 최근엔 생활용품점 ‘다이소’에서 건강 기능 식품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의약품은 파는 곳마다 성분과 함량, 효능에 차이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약국에서 파는 것과 다이소·편의점에서 파는 약은 같은 제품이 아니리고 합니다.
혼동할 만한 이름을 사용해 소비자들이 같은 제품으로 알기 쉽디고 합니다
예를 들어마시는 소화제라도 약국에선 ‘가스활명수 큐액’을 팔고 편의점에선 ‘가스활 액’을 파는데, 성분에 차이가 있습니다. 가스활명수에 포함된 ‘현호색’이란 성분은 소화를 돕지만 임신부의 자궁 수축을 유발할 우려가 있어 주의를 해야 하며, 이 외에도 약국용은 성분이 다양하고 함량이 많아 효능이 좋은 대신 주의 사항도 많은 편입니다. 반면에 편의점용은 효능은 약하지만, 부작용이 적어 더 쉽게 섭취가 가능합니다.
상처에 바르는 연고인 ‘마데카솔’은 편의점 등에서 같은 이름으로 팔더라도 약국용에만 감염 예방을 위한 항생제 성분이 포함돼 있습니다.